;
대한민국의 소득 분포는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10개의 분위로 나뉘며, 각 분위별로 직업과 학력 수준에 차이가 나타납니다. 최근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소득 상위 10%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약 1억 9,042만 원인 반면, 하위 10% 가구는 약 897만 원으로, 상·하위 10% 간 소득 격차가 21배에 달합니다.
소득 10분위별 평균 소득과 직업, 학력 특성
소득 분위 | 평균 소득 | 직업 | 학력 |
---|---|---|---|
1분위 (하위 10%) | 약 897만 원 | 단순 노무직, 서비스직, 판매직 | 고등학교 졸업 이하 |
2분위 (하위 10~20%) | 약 1,500만 원 | 사무 보조원, 운전기사, 생산직 | 고등학교 졸업 또는 전문대 졸업 |
3분위 (하위 20~30%) | 약 2,200만 원 | 기술직, 중소기업 사무직, 서비스 관리자 | 전문대 졸업, 일부 대학교 졸업 |
4분위 (하위 30~40%) | 약 2,900만 원 | 중견기업 사무직, 기술 관리자, 영업직 | 대학교 졸업 |
5분위 (하위 40~50%) | 약 3,600만 원 | 대기업 사무직, 전문직 초급 단계, 공무원 | 대학교 졸업, 일부 대학원 졸업 |
6분위 (상위 50~60%) | 약 4,300만 원 | 전문직 중급 단계, 중견기업 관리자, 공공기관 직원 |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 |
7분위 (상위 60~70%) | 약 5,000만 원 | 대기업 관리자, 고급 전문직, 공공기관 중간 관리자 | 대학원 졸업 |
8분위 (상위 70~80%) | 약 5,700만 원 | 기업 임원, 고위 공무원, 전문직 상급 단계 | 대학원 졸업, 박사 학위 소지 |
9분위 (상위 80~90%) | 약 6,400만 원 | 대기업 고위 임원, 전문직 최고위층, 정부 고위직 | 박사 학위 소지, 해외 유학 경험 |
10분위 (상위 90~100%) | 약 1억 9,042만 원 | 대기업 최고경영자 (CEO), 대형 로펌 파트너 변호사, 전문의 | 박사 학위 소지, 해외 명문대 졸업 |
이러한 소득 분포와 직업, 학력의 상관관계는 사회적 계층 이동과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시사합니다. 소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 기회의 평등화, 공정한 채용 절차, 사회 안전망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728x90
댓글